경제이슈 60

농심 포리스트 키친 - 비건 전문 파인다이닝

농심은 2022년 5월 27일, 잠실 롯데월드몰에서 비건 전문 프리미엄 레스토랑인 '포리스트 키친'을 공식 오픈합니다. 포리스트 키친이라는 명칭은 숲을 의미하는 Forest와 주방을 의미하는 Kitchen을 조합한 단어로 자연의 건강함을 메뉴에 담겠다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습니다. 파인 다이닝 식당인 포리스트 키친은 국내 고급 레스토랑 중 처음으로 육류와 유제품을 전혀 사용하지 않는 순수 비건 코스로만 운영됩니다. 포리스트 키친은 '캐치테이블'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100% 사전 예약제로 운영되며 단품 메뉴는 판매하지 않고 코스 메뉴로만 운영됩니다. 런치 코스는 55,000원, 디너 코스는 77,000원으로 운영될 계획이라고 합니다. 코스 요리 전체가 비건 식단으로 구성되며, 점심에는 7개의 요리가 저녁에는..

경제이슈 2022.05.26

경유 가격, 리터 당 2000원 돌파

한국석유공사 유가정보시스템 공시 자료에 따르면, 전국 주유소에서 판매되는 경유의 평균 가격이 리터당 2,000.93으로 집계되었습니다. 국내 경유 가격이 리터 당 2,000원을 돌파한 것은 2008년 4월 이후 처음 있는 일로, 이제는 경유 가격이 휘발유 가격을 추월하기 시작했습니다. 경유 가격 상승세는 세계적으로 석유 수급에 어려움이 생기면서 지속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국제 경유 가격이 조금씩 하락세를 보이는 만큼 우리나라 경유 가격 역시 향후 소폭 감소할 가능성은 존재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우리나라 정부는 경유를 사용하는 운송사업자들에게 지급되는 보조금 규모를 확대하기로 했는데요. 유가상승은 물가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는 만큼 운송사업자뿐만 아니라 출퇴근 등 일상생활에서 경유를 사용하는 국민들을 위한..

경제이슈 2022.05.25

외식가격 공표제 폐지

지난 2월 23일, 정부는 물가 안정을 위해 주요 외식 품목의 가격을 공개하는 '외식 가격 공표제'를 시행하였습니다. 공표대상 품목에는 김밥, 죽, 짜장면, 갈비탕, 설렁탕, 햄버거, 치킨, 피자, 떡볶이, 커피, 삼겹살, 돼지갈비 등 12개 품목이었습니다. 외식가격공표제가 시행되면서 한국 농수산식품유통공사 홈페이지에는 매주 12개 품목의 가격 및 가격 등락률이 공표되었습니다. 이때 공표가 되는 품목의 가격은 공표 대상 품목을 취급하는 업체 중 매장 수 기준 상위 10개 브랜드를 기준으로 가격이 공개되었습니다. 이러한 외식가격공표제가 세 달만에 폐지된다고 합니다. 농림축산부장관에 따르면, 그동안 업계에 부담이 되었고 실효성에 대한 논란이 있었던 외식 가격 공표제를 폐지하고 업계의 부담을 완화할 수 있는 ..

경제이슈 2022.05.24

한국 식료품 물가, 세계 4위

전 세계 각 국가 및 도시의 물가를 비교하는 물가지수 전문 통계 사이트 넘베오가 발표한 2022년 식료품 물가지수에 따르면 우리나라 식료품 물가는 4위, 생활비지수는 20위라고 합니다. 보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우리나라 식료품 물가가 아시아에서 가장 비싼 것으로 나타났으며, 과일류와 감자 가격은 세계 1위, 소고기와 쌀 가격은 세계 3위를 기록했다고 합니다. 또한 각 국가의 중간 가격대의 식당 가격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 우리나라의 서울 기준 외식 비용이 일본의 도쿄 기준 외식 가격보다 비싼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전 세계적으로 인플레이션이 지속되면서 물가가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는데요. 물가가 상승할 경우 소득 계층별 불균형이 지속될 수 있다는 점에서 물가 안정을 위한 정책 마련이 시급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경제이슈 2022.05.22

대전 복합 터미널과 인천 국제공항 공항 버스 운영 재개 - 출발 시간, 경유지

코로나19 발생 이후 대전 복합터미널에서 인천공항으로 운행하던 버스 운행이 중단되었는데요. 코로나19 확진자수가 감소하고 있으며 사회적 거리두기가 해제되면서 2022년 6월 1일부터 버스 운행이 재개된다고 합니다. * 버스 운송사의 사정에 따라 운행 시간 변동 가능성이 있어 출발 전 정확한 운행 시간 확인이 필요하다고 합니다. 대전 복합터미널 출발 시간 - 4시 - 6시 20분 - 10시 30분 - 14시 - 16시 인천공항 제2터미널 출발시간 - 8시 30분 - 11시 - 15시 20분 - 19시 20분 - 21시 30분에 출발한다 경유지 - 둔산시외버스정류소 - 도룡동정류소 - 인천공항 제1터미널

경제이슈 2022.05.21

5월 19일 증시 : 플랫폼 대장주 네이버, 카카오 신저가 경신

어제인 19일, 플랫폼 대장주로 불리는 카카오와 네이버가 신저가를 경신하였습니다. 카카오의 경우 장중 80,000원까지 하락하며 52주 최저가를 경신하였습니다. 투자자별 매매 동향을 살펴보면 외국인은 90,286주를, 기관은 193,460주를 순매도하였습니다. 네이버의 경우 장중 266,500원선으로 하락하며 52주 최저가를 경신하였습니다. 어제인 19일, 투자자별 매매 동향을 살펴보면 외국인은 12,485주를 순매수하였으나 기관은 52,881주를 순매도하였습니다. 플랫폼 대장주들의 주가 동반 하락의 배경에는 미국 뉴욕 증권거래소에서 거래되는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가 인플레이션에 대한 우려로 급락하면서 국내 기술주의 주가도 하락하게 된 것으로 생각됩니다. 52주 최저가를 경신한 네이버와 카카오의 주가가..

경제이슈 2022.05.20

한국개발연구원(KDI), 2022년 한국 경제 성장률 전망 하향, 물가 상승률 전망 상향

한국개발연구원(KDI)은 2022년 한국 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하향 조정하였습니다. 2021년 11월, KDI는 2022년 한국 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3.0%로 예상했었습니다. 하지만 2022년 5월 18일, KDI는 2022년 상반기 경제전망에서 올해 한국 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2.8%로 하향 조정하였습니다. 이러한 하향 배경에는 원자재 수급 불안 문제가 장기화되면서 경제에 부담이 되고 있으며,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이 가속화되는 등 대외적인 여건들이 악화되면서 우리나라의 성장률 전망치도 하향되었다고 합니다. 우리나라 정부에서는 올해 우리나라 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3.1%로, 한국은행에서는 3.0%로 전망하였습니다. 국제통화기금(IMF)에서는 우리나라 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2.5%로, 경제협력개발기구(O..

경제이슈 2022.05.19

아모레퍼시픽 주가 전망 - 직원 횡령으로 하락 마감

오늘은 아모레퍼시픽 주가 전망과 관련한 포스팅을 해보겠습니다. 시총 규모 9조 1,834억 원, 코스피 45위의 아모레퍼시픽은 화장품 관련 사업을 영위하는 회사입니다. 코로나19 발생 이후 마스크 착용으로 화장품 수요가 줄어들면서 주가도 하락세를 보였습니다. 하지만 코로나 확진자 수가 안정세를 보이고, 실외 마스크 착용 의무가 해제되면서 아모레퍼시픽의 주가 상승에 대한 기대감도 높아졌었는데요. 이러한 아모레퍼시픽의 악재 소식이 전해졌습니다. 아모레퍼시픽의 내부감사 과정에서 직원의 횡령 소식이 적발되었다고 합니다. 아모레퍼시픽의 직원 횡령 소식이 전해지면서 아모레퍼시픽의 주가는 전일 대비 5,000원(3.09%) 하락한 157,000원에 마감하였습니다. 아모레퍼시픽의 순매매 거래량을 살펴보면 오늘인 17일..

경제이슈 2022.05.17

매일유업 새활용 프로젝트

매일유업은 환경 문제가 심화되면서 친환경 사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이번에는 친환경 사업의 일환으로 마켓컬리와 함께 재활용품으로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새활용 프로젝트'를 진행한다고 합니다. 마켓컬리에서 매일유업 제품을 2만 원 이상 구매하는 고객들에게 밀키 파우치를 증정한다고 합니다. 밀키 파우치는 우유팩의 파지를 활용하여 미니 지갑 등 제품을 만들 수 있도록 구성된 DIY 키트로, 업사이클링을 통한 환경 보호 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이번 새활용 프로젝트는 2022년 5월 19일까지 5,000개 한정 수량으로 진행됩니다. 기업의 친환경 문화가 확산되어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 등 환경보호를 위한 움직임이 다양해지기를 기대해봅니다.

경제이슈 2022.05.15

화장품 업계 2022년 1분기 실적 - 아모레퍼시픽, LG생활건강

화장품 업계의 2022년 1분기 실적이 발표되고 있습니다. 지난 1분기에는 코로나 재확산의 여파와 세계 경제 불안정 등으로 화장품 업계의 실적이 부진했다고 알려졌습니다. LG생활건강의 경우 2022년 1분기 매출액은 전년 대비 19% 감소한 1조 6,450억 원,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53% 감소한 1,756억 원입니다. 아모레퍼시픽그룹의 실적도 감소하였습니다. 2022년 1분기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9% 감소한 1조 2,628억 원,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13% 감소한 1,712억 원을 기록하였습니다. 거리두기가 완화되고 실외 마스크 착용 의무가 해제되면서 화장품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고 합니다. 엔데믹에 대한 기대 속에 화장품 업계의 매출이 상승세를 보이고 있는 만큼 2분기 실적은..

경제이슈 2022.05.12